information

🌫 미세먼지 농도 기준 비교: WHO vs. 한국 환경부 🌍

currentissuee 2025. 4. 4. 06:59

 

저번 포스팅으로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기준과 대응 방법에 대해 알아봤었습니다.

2025.04.03 - [information] - 미세먼지 농도 기준과 대응 방법 🌿

 

미세먼지 농도 기준과 대응 방법 🌿

미세먼지는 건강과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. 오늘은 미세먼지 농도 기준을 쉽게 정리하고, 이에 대응하는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  🌫 미세먼지 농도 기준 (P

currentissuee.tistory.com

 

 

미세먼지는 세계적으로 큰 환경 문제이며, 각국의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습니다. 특히 WHO(세계보건기구)와 한국 환경부의 기준을 비교해 보면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. 오늘은 미세먼지 농도 기준을 쉽게 정리하고, 친환경적으로 대응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📊 WHO vs. 한국 미세먼지 농도 기준

미세먼지는 크기에 따라 PM10(지름 10μm 이하)PM2.5(지름 2.5μm 이하)로 나뉘며,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WHO와 한국 환경부가 각각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

등급WHO PM10 (㎍/㎥, 24시간 평균)한국 PM10 (㎍/㎥, 24시간 평균)WHO PM2.5 (㎍/㎥, 24시간 평균)한국 PM2.5 (㎍/㎥, 24시간 평균)

 

등급 WHO PM10
(㎍/㎥, 24시간 평균)
한국 PM10
(㎍/㎥, 24시간 평균)
WHO PM2.5
(㎍/㎥, 24시간 평균)
한국 PM2.5
(㎍/㎥, 24시간 평균)
좋음 0~45 0~30 0~15 0~15
보통 46~75 31~80 16~25 16~35
나쁨 76~100 81~150 26~50 36~75
매우 나쁨 101 이상 151 이상 51 이상 76 이상

💡 WHO의 기준이 한국보다 더 엄격하며, 특히 초미세먼지(PM2.5) 기준에서 차이가 큽니다.

   → 반대로 말하면 한국의 기준이 더 느슨하기 때문에, 한국 기준 좋음과 보통이라고 해도 주의가 필요합니다!!


💡 WHO는 연평균 PM2.5를 5㎍/㎥ 이하로 권장하지만, 한국은 15㎍/㎥ 이하를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.